Questionable Publishing

의심 학술출판 개요

의심학술지의 특징

  • 관심주제 범위가 폭넓음. 예 : 생의학 분야 저널이지만 비생의학 주제 포함
  • 매우 낮은 논문 게재료(APC) 부과
  • 승인되지 않은 이미지를 사용하거나, 권위있는 다른 저널인 것처럼 이미지를 왜곡하여 혼동되도록 유도함
  • 온라인 논문투고 시스템 없이 이메일로 원고제출 요청
  • 논문 철회, 교정, 오타 수정, 표절 등의 발간정책 부재
  • 논문심사 등을 포함한 원고처리 과정에 대한 안내 미비
  • 저널 콘텐츠의 디지털 보존 여부와 방식에 대한 정보 부재
  • 웹사이트 문구의 문법이 이상하거나 철자 오류 빈번
  • 웹사이트에서 Index Copernicus Value(ICU), DAI(Digital Article Identifier) 등 사용
  • 빠른 동료심사, 초청논문 등의 문구로 저자를 현혹
  • OA를 주장하며, 출판된 연구물의 저작권에 대한 언급이 없음
  • 연락처의 이메일 주소가 저널 도메인이 아님. 예 : @gmail.com, @yahoo.com
  • 쉽고 빠른 출판을 내세워 APC 장사를 함

[출처] Shamseer et al. 2017. Potential predatory and legitimate biomedical journals: can you tell the difference? A cross-sectional comparison. BMC Medicine 15(28)

의심 학술출판 관련 사이트 및 가이드라인

의심 학술지, 학술회의 리스트 제공 사이트

Beall’s List of Predatory Journals and Publishers
  • Beall’s list의 아카이브 버전으로 기존 리스트에 링크정보와 참고사항만을
    추가 제공
Yale University Library.
Choosing a Journal for Publication of an Article: HIjacked Journals
  • 예일대학교에서 제공하는 사이트로 위조학술지 리스트 제공
Cabell’s Blacklist
  • black list와 white list를 유료로 제공

투고 학술지, 학술회의 선택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사이트

Think, Check, Submit
  • 연구자가 투고 학술지를 선택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과 체크리스트 제공
Think, Check, Attend
  • 연구자가 자신의 논문을 발표할 학술회의를 선택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과 체크리스트 제공
COPE
  • 논문투고 및 출판윤리 전반에 대한 국제 표준가이드라인 제공
한국연구재단 『약탈적 학술지와 학회 예방 가이드』
  • 2018년 9월 한국연구재단(NRF)이 캐나다 캘거리대학교의 Avoiding Predatory Journals and Questionable Conferences: A Resource Guide를
    번역한 자료임.
  • 약탈적 학회와 학술지의 특징을 소개

의심 학술출판 예방을 위한 참여주체별 역할

국가정보센터
의심 학술지, 학술회의 모니터링 및 정보공유
안전한 학술출판을 위한 국제적 가이드라인 개발 및 보급
의심 학술출판 모니터링 및 필터링 기술 개발
해외 출판윤리 관련 기구들과 협력
도서관
소속기관 이용자에게 의심 학술지, 학술회의에 대한 정보 적시 제공
도서관 홈페이지에 의심 학술출판 관련 안내 사이트 운영
학회
학술출판 윤리 및 관련 프로세스 준수
학회간 약탈적 학술출판 피해 사례(예. 피싱) 공유
전문분야별 black list 또는 white list 학술지 작성 공유
연구자
논문 투고시 의심 학술지 여부 체크(think-check-submit)
연구자의 학술출판 윤리 준수